검색결과 리스트
DataBase에 해당되는 글 5건
- 2011.08.26 mssql 테이블 복사
- 2011.08.12 mssql 외래키 지정 쿼리
- 2011.07.21 테이블 생성 쿼리
- 2011.07.01 select into 와 insert into select의 차이
- 2010.10.15 mssql 유용한 내장함수
글
DataBase
2011. 8. 26. 11:54
mssql 테이블 복사
테이블을 복사할 때 복사할 내용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눠짐
※ select into 는 테이블 구조를 복사함 과 동시에 데이터도 같이 복사할 수있다
※ insert into 는 테이블 구조와 상관없이 특정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하여
데이터 입력을 원하는 테이블에 입력 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select into 는 테이블 생성과 데이터 입력이 동시에 진행되지만
insert into는 입력받을 테이블을 먼저 생성한 후 쿼리를 실행시켜야한다.
- 테이블을 생성하면서 데이터도 같이 복사함
- 구조만 복사
Select * into table2 From table1 where 1=2
※ select into 는 테이블 구조를 복사함 과 동시에 데이터도 같이 복사할 수있다
※ insert into 는 테이블 구조와 상관없이 특정 테이블에서 원하는 데이터만 추출하여
데이터 입력을 원하는 테이블에 입력 할 수 있다.
주의할 점은 select into 는 테이블 생성과 데이터 입력이 동시에 진행되지만
insert into는 입력받을 테이블을 먼저 생성한 후 쿼리를 실행시켜야한다.
- 테이블을 생성하면서 데이터도 같이 복사함
Select * into table2 From table1
- 구조만 복사
Select * into table2 From table1 where 1=2
- 데이터만 복사
Inser into table2 Select * From table1
- 특정 데이터만 복사
Inser into table2 Select * From table1 Where 조건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외래키 지정 쿼리 (0) | 2011.08.12 |
---|---|
테이블 생성 쿼리 (0) | 2011.07.21 |
select into 와 insert into select의 차이 (0) | 2011.07.01 |
mssql 유용한 내장함수 (0) | 2010.10.1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DataBase
2011. 8. 12. 14:21
mssql 외래키 지정 쿼리
table2 - 외래키를 지정할 테이블명
table1 - table2에 지정될 외래키를 기본키로 가지고 있는 테이블
table1 - table2에 지정될 외래키를 기본키로 가지고 있는 테이블
idx - table1기본키로 지정된 컬럼
tb1code - table2에 외래키로 지정될 컬럼
alter table table2
add constraint FK_table1_tb1code
foreign key(tb1code) references table1(idx)
tb1code - table2에 외래키로 지정될 컬럼
alter table table2
add constraint FK_table1_tb1code
foreign key(tb1code) references table1(idx)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테이블 복사 (0) | 2011.08.26 |
---|---|
테이블 생성 쿼리 (0) | 2011.07.21 |
select into 와 insert into select의 차이 (0) | 2011.07.01 |
mssql 유용한 내장함수 (0) | 2010.10.1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DataBase
2011. 7. 21. 14:49
테이블 생성 쿼리
오라클 테이블 생성 쿼리
CREATE TABLE JSPDREAM.TABLE1 (
IDX NUMBER NOT NULL,
WRITER VARCHAR2(40) DEFAULT '' NOT NULL,
TITLE VARCHAR2(200) DEFAULT '' NOT NULL,
CONTENT VARCHAR2(3000) DEFAULT '' NOT NULL,
REGDATE DATE NULL
)
msslq 테이블 생성 쿼리
create table jspdream.table1(
CREATE TABLE JSPDREAM.TABLE1 (
IDX NUMBER NOT NULL,
WRITER VARCHAR2(40) DEFAULT '' NOT NULL,
TITLE VARCHAR2(200) DEFAULT '' NOT NULL,
CONTENT VARCHAR2(3000) DEFAULT '' NOT NULL,
REGDATE DATE NULL
)
msslq 테이블 생성 쿼리
create table jspdream.table1(
idx int identity not null,
writer varchar(40) not null default '',
title varchar(200) not null default '',
content varchar(3000) not null default '',
regdate datetime not null default getdate()
title varchar(200) not null default '',
content varchar(3000) not null default '',
regdate datetime not null default getdate()
)
난 주로 mssql을 많이 쓰는 오라클은 어~~~~~쩌다 한번씩? 사용하게되는데
불편불편 ㅠㅠ
mssql은 오토 커밋이라 트랜잭션을 걸지 않는 이상 따로 커밋이나 롤백을 하지 않는데
오라클은 create, insert, update, delete, drop등의 쿼리를 실행하면
반드시 커밋이나 롤백을 실행해줘야해서 조금 귀찬은 감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mssql은 identity라는 속성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기본키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오라클은 따로 설정해줘야한다능!!!
CREATE SEQUENCE JSPDREAM.TABLE1_IDX
START WITH 1
INCREMENT BY 1
MAXVALUE 999999999999999999999999999
MINVALUE 1
NOCYCLE
CACHE 20
NOORDER;
오라클은 위와 같은 형식으로 시퀀스를 생성해줘야한단다 ㅠㅠ
아고아고....
오라클 공부좀 해야겠다
mysql은 따로 공부해야한당...
아웅!!!
난 주로 mssql을 많이 쓰는 오라클은 어~~~~~쩌다 한번씩? 사용하게되는데
불편불편 ㅠㅠ
mssql은 오토 커밋이라 트랜잭션을 걸지 않는 이상 따로 커밋이나 롤백을 하지 않는데
오라클은 create, insert, update, delete, drop등의 쿼리를 실행하면
반드시 커밋이나 롤백을 실행해줘야해서 조금 귀찬은 감이 있는 것 같다
그리고 mssql은 identity라는 속성을 이용해서 자동으로 기본키의 값을 증가시킬 수 있지만
오라클은 따로 설정해줘야한다능!!!
CREATE SEQUENCE JSPDREAM.TABLE1_IDX
START WITH 1
INCREMENT BY 1
MAXVALUE 999999999999999999999999999
MINVALUE 1
NOCYCLE
CACHE 20
NOORDER;
오라클은 위와 같은 형식으로 시퀀스를 생성해줘야한단다 ㅠㅠ
아고아고....
오라클 공부좀 해야겠다
mysql은 따로 공부해야한당...
아웅!!!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테이블 복사 (0) | 2011.08.26 |
---|---|
mssql 외래키 지정 쿼리 (0) | 2011.08.12 |
select into 와 insert into select의 차이 (0) | 2011.07.01 |
mssql 유용한 내장함수 (0) | 2010.10.1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DataBase
2011. 7. 1. 01:13
select into 와 insert into select의 차이
select into 는 사용시 into 뒤에 새로운 테이블 명을 정의 하여
새로운 테이블을 만듬과 동시에 select되는 내용들을 새 테이블에 입력한다.
insert into select는 select into와 비슷해 보이나 select into 처럼 테이블을 새로
생성하진 않고 이미 만들어진 테이블에 select한 내용들을 입력한다.
새로운 테이블을 만듬과 동시에 select되는 내용들을 새 테이블에 입력한다.
insert into select는 select into와 비슷해 보이나 select into 처럼 테이블을 새로
생성하진 않고 이미 만들어진 테이블에 select한 내용들을 입력한다.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테이블 복사 (0) | 2011.08.26 |
---|---|
mssql 외래키 지정 쿼리 (0) | 2011.08.12 |
테이블 생성 쿼리 (0) | 2011.07.21 |
mssql 유용한 내장함수 (0) | 2010.10.15 |
설정
트랙백
댓글
글
DataBase
2010. 10. 15. 11:52
mssql 유용한 내장함수
소유자 변경
use table
exec sp_changeobjectowner '','dbo'
다른 서버의 db 테이블 조인
select x, x2, x3 from 나의디비테이블 a inner join
openrowset('sqloledb',다른서버이름';'sa';'xxxx',
'select x, x2, x3 from 다른서버 이름.디비명.dbo.테이블명') as b
on a.xx=b.xx
* 같은서버의 서로 다른 디비 테이블 조인
select * from DB1.Table1 A, DB2.table2 B where A.X=B.X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테이블 복사 (0) | 2011.08.26 |
---|---|
mssql 외래키 지정 쿼리 (0) | 2011.08.12 |
테이블 생성 쿼리 (0) | 2011.07.21 |
select into 와 insert into select의 차이 (0) | 2011.07.01 |
RECENT COMMENT